KAIST - COMPUTER SCIENCE

  • korea
  • search
  • login

Directions

  • 전산학부 및 정보보호대학원 입시설명회 안내

    2025학년도 봄학기 입학 전산학부 및 정보보호대학원 입시설명회 안내 KAIST 전산학부 및 정보보호대학원에서 2025학년도 봄학기 입학을 준비하는 학생들을 위한 입시설명회를 개최합니다. 이번 입시설명회에서는 &mid

  • KAIST 박노성 교수 연구팀, ICML 오랄 논문 선정

    KAIST 전산학부 빅데이터 분석 및 학습 연구실 박노성 교수팀의 연구 성과가 세계적인 명성을 자랑하는 학술대회에서 인정받았다. 박노성 교수팀의 "Parameterized Physics-informed Neural Ne

  • 겸직교수 안드리아 비앙키 교수의 논문, ACM CHI 2024에서 Honorable Men..

    전산학부 겸임교수인 안드리아 비앙키 교수가 참여한 논문 "Big or Small, It’s All in Your Head: Visuo-Haptic Illusion of Size-Change Using Finger-

  • KAIST 맹성현 교수, 신간 ˝AGI 시대와 인간의 미래˝ 출간

    KAIST 맹성현 교수, 신간 "AGI 시대와 인간의 미래" 출간 KAIST(한국과학기술원)의 맹성현 교수가 인공지능 연구의 최신 동향과 미래 사회에 미칠 영향을 분석한 신간 "AGI 시대와 인간의 미

  • KAIST 전산학부 김문주 교수와 유신 교수, 정보과학회 Top A급 우수국제학회인 IEE..

    KAIST 전산학부 김문주 교수와 유신 교수가 정보과학회 Top A급 우수 국제학술대회인 2014년 IEEE Intl. Conf. on Software Testing, Verification and Validation (ICST) 에

  • 네이버·인텔·KAIST, AI 공동연구센터 설립

    KAIST, 네이버, 인텔이 힘을 합쳐 인공지능(AI) 반도체 및 플랫폼 공동 연구를 위한 '네이버·인텔·KAIST AI 공동연구센터'를 설립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센터 설립은 국내 AI 기술

  • 경기도 과천 국립과천과학관, 오혜연 교수가 근정포장 수상

    2024년 4월 22일(월), 경기도 과천의 국립과학관 중앙홀에서 열린 "2024년 과학기술·정보통신의 날" 기념식에서 오혜연 교수가 근정포장을 수상하는 영광을 안았다. 과학기술·정보통

  • 과천 국립과학관, ˝과학기술·정보통신의 날˝ 기념식 개최 - 박진아 전산학부 교수 과학기술..

    경기도 과천 국립과천과학관에서는 지난 4월 22일(월) "과학기술·정보통신의 날"을 기념하여 기념식을 개최하고 관련 종사자들의 헌신을 기렸다. 이날 행사에서는 생명·의학융합 분야의 과학기술

  • 허기홍 교수, 아마존 연구상 (Amazon Research Award) 수상

    우리 대학 전산학부 허기홍 교수가 세계적인 IT 기업 아마존(Amazon) 에서 수여하는 아마존 연구상 (Amazon Research Award)을 수상했다. 이 상은 전 세계 우수한 전산학 분야 연구자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20

  • 2024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표창 수상, KAIST 문수복 교수의 연구자 권익 보호 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MSIT) 장관표창(연구자 권익보호 유공) 수상자로 KAIST 문수복 교수가 선정되었다. 문 교수는 오랜 기간에 걸쳐 연구자의 권익 보호와 학문적 자율성 증진을 위해 헌신해 온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과학기술정

  • 서울시, 카이스트와 고립가구 발굴 위한 AI 만든다.

    우리 전산학부 차미영 교수가 참여한 "서울시-카이스트·서울시복지재단과 함께 'AI 안부 확인 서비스 데이터 활용 연구'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언론기사 입니다. 관련기사 보기 :

  • KAIST 강성원 교수, 노암 촘스키의 저서 <지식인의 자격> 번역 출간

    KAIST 전산학부 강성원 교수는 현대 언어학의 개척자이자 생존하는 가장 중요한 지식인으로 알려진 노암 촘스키의 저서 <지식인의 자격: 지식인의 책임과 그 후편>(황소걸음, 184쪽)을 윤종은 번역가와 공동 번역하여 202

  • 대전에서 개최 예정인 대형 국제학술행사 MICCAI 2025 의장인 전산학부 박진아 교수의..

    MICCAI 2025 Venue: Daejeon, Republic of Korea Conference Dates: September 23 - 27, 2025 Conference Chairs: Jinah Par

  • 말만으로 음식 주문·결제도 척척…KAIST 교원창업기업 플루이즈, 앱 자율실행기술 개발

    출처 : 전자신문 https://www.etnews.com/20240229000246# 전산학부 신인식 교수 창업기업인 플루이즈사의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자연어 기반 '앱 자율실행' 기술개발 관련

  • 백형부 박사 (지도교수 윤현수) 서울시립대학교 인공지능학과 조교수 임용

    KAIST 전산학부를 졸업한 백형부 박사(지도교수: 윤현수)가 2024년 3월 1일부로 서울시립대학교 인공지능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백형부 박사는 2012년, 2016년에 KAIST 전산학부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고, 이

  • 손정주 박사 (지도교수 유신)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조교수 임용

    KAIST 전산학부를 졸업한 손정주 박사(지도교수 유신)가 2024년 3월 1일부로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조교수로 임용된다. 손정주 박사는 학부 이화여대 컴퓨터공학과, 석사 및 박사 KAIST 전산학부를 거쳐 2021년 &quo

  • 전산학부 한준 교수 임용

    우리 KAIST 전산학부에 2024년 2월 1일부로 한준 교수가 임용되었다. 한준 교수는 2018년 미국 카네기멜론대학교(Carnegie Mellon University)에서 IoT 보안 연구로 컴퓨터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 전산학부 박노성 교수 임용

    우리 KAIST 전산학부에 2024년 2월 1일부로 박노성 교수가 임용되었다. 박노성 교수는 2016년 미국 메릴랜드주립대(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 했으며 2016

  • 이의진 교수 ACM Distinguished Speaker (DSP) 연사 선발

    우리 학부 이의진 교수가 세계 최대 컴퓨터 과학 분야 연합회인 ACM(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의 Distinguished Speaker (DSP) 프로그램(https://speakers.acm

  • 전산학부 김은정 교수 임용

    우리 KAIST 전산학부에 2024년 1월 1일부로 김은정 교수님께서 부임해 오셨습니다. 김은정 교수는 2010년 런던 대학교에서 컴퓨터 과학 분야의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프랑스 몽펠리에의 CNRS 연구소 LIRMM에서 박사후

  • Lucky 7 Social at N1 개최

    [Lucky 7 Social at N1 포스터] 지난 12월 14일(목) 우리 전산학부 인터랙티브 컴퓨팅 연구실(지도교수 이의진)에서 소셜 이벤트인 "Lucky 7 Social at N1"가 진행되었다.

  • 국제사이버보안연구원 김광조 원장, 세계 상위 2% 과학자로 선정

    우리 전산학부 명예교수인 김광조 교수가, 세계 상위 2% 과학자 선정관련 기사입니다. 기사원문: https://boannews.com/media/view.asp?idx=125103 김광조 원장 “국가 양자

  • KCC 2023 수상자 명단 안내

    한국정보과학회가 주최하는 한국 최대 규모의 컴퓨터 과학 및 정보 기술 분야 학술대회인 KCC 2023 KAIST 전산학부 수상자 명단을 아래와 같이 공지합니다. [KCC2023 우수논문상 입상자] 분야: 사물인터넷 논문명

  • 사회문제와 기술이 만나면?… 카이스트 학생들이 내놓은 아홉 가지 솔루션

    2023학년도 2학기 KAIST 전산학부에서 개설된 ‘테크포임팩트 전산학 특강’ 관련 기사입니다. 출처 및 기사원문: https://www.futurechosun.com/archives/82920 인권

  • APSEC 2023 국제학술대회 개최

    지난 2023년 12월 4일에서 7일까지 나흘간 그랜드 워커힐 서울에서 우리 전산학부 교수들이 주관한 30th Asia-Pacific Software Engineering Conference (APSEC 2023)이 개최되었다. 이

  • 2023 년도 운당학술상 최종우 졸업생 수상(지도교수 민상윤)

    우리 전산학부 소프트웨어대학원프로그램 졸업생 최종우 씨(지도교수 전산학부 겸직교수 민상윤)가 운동학술상(운당학생논문상 부문)을 수상했다. 운당학술상은 우리나라 최초 IT서비스 기업 'KCC정보통신' 창업자인 운당(

  • 제1회 한국햅틱스학술대회 최우수포스터상 수상 (석사과정 임규나, 박사과정 박원정, 김현수,..

    사진상 좌측부터 박진아(전산학부 교수), 임규나 대학원생(지도교수 박진아), 박원정 대학원생(지도교수 박진아) 지난 11월 22~24일에 부여에서 개최된 제1회 한국햅틱스학술대회에서 전산학부 박진아 교수 CGV연구실 학생들의 연

  • KAIST 전산학과 박사과정 송현호(지도교수: 차미영), 2023 한국인공지능학회 추계학술..

    사진상 진효진(IBS), 차미영(KAIST 전산학부 교수), 신민기(KAIST 박사과정), 송현호(박사과정), 최정회(주식회사 심심이 대표) 최유빈(KAIST 석사과정) KAIST 전산학과 박사과정 송현호, 정찬이,

  • 전산학부 이의진 교수, ICMU 학회 기조 강연 진행​

    https://news.kaist.ac.kr/news/html/news/?mode=V&mng_no=33130 [전산학부 이의진 교수] 우리 대학 전산학부 이의진 교수가 11월 29~12월 1일 동안 일본 교토

  • 대학생 프로그래밍 왕은?···KAIST 최은수·임성재·이종영

    출처 : https://zdnet.co.kr/view/?no=20231126094521 지난 11월 25일 열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가 주최하고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원장 황종성)이 주관한 제23회 '한

  • KAIST DEAL Vision Team's Innovative Win at ACM MMS..

    The DEAL Vision team from the Auto-ID lab of Professor Daeyoung Kim achieved an outstanding result in the Basketball player instan

  • Jong Cheol Park, Professor of School of Computing ..

    https://2023.emnlp.org/program/keynotes/ Jong Cheol Park, Professor of School of Computing at KAIST, will deliver a Keynote S

  • AI 챗봇 이미지 데이터 훈련 비용 최소화할 실마리 찾았다

    우리 전산학부 이재길 KAIST 전산학부 교수 연구팀의 이미지 분류 문제에서 정확도 22% ↑관련 기사입니다. 출처: https://biz.chosun.com/science-chosun/science/2023/11/02

  • 브이플러스랩, 국내 최대 SW 테스팅 컨퍼런스 베스트콘 (BeSTCon) 2023 강연 및..

    김문주 교수가 창업한 브이플러스랩이, 10월 31일 (화) 서울 COEX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 SW 테스팅 컨퍼런스인 베스트콘 (BeSTCon) 2023에서 SW 자동 테스팅 기술 강연 및 홍보 부스를 운영한다. https://ww

  • KAIST Professor Joseph Seering wins Best Paper Awa..

    KAIST faculty member Joseph Seering has won a Best Paper Award for his paper, "Hate Raids on Twitch: Echoes of the Past, New

  • “타입으로 견고하게 다형성으로 유연하게: 탄탄한 개발을 위한 씨줄과 날줄” 저서 발간

    우리 전산학부 재학생 홍재민 학생(석박사통합과정, 지도교수 류석영 교수)이 저술한 “타입으로 견고하게 다형성으로 유연하게: 탄탄한 개발을 위한 씨줄과 날줄” 저서가 발간되었다. 홍재민 학생은 학부생 시절 타입 관

  • Jong C. Park, Professor of School of Computing, se..

    Jong C. Park, Professor of School of Computing at KAIST, serves as General Chair of IJCNLP-AACL 2023, the 17th International Joint

  • 강성원 교수 Computing 저널 특집호 ˝의존 가능한 복합기술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아..

    우리 전산학부 강성원 교수가 2023년 8월 Impact Factor 3.7의 SCIE 저널인 Computing에 "의존 가능한 복합기술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아키텍처 설계(Architecting Dependable Multi

  • Co-organizing the CCC'23

    "KAIST SoC graduate (2021) Dr. Sewon Park (advisor prof. Martin), currently Postdoc at Kyoto University/RIMS (Research Instit

  • CUDA 기반 GPU 병렬 처리 프로그래밍 저서 발간

    우리 전산학부 졸업생 김덕수 교수(2014, 박사 졸업생, 지도교수 윤성의 교수)가 저술한 "CUDA 기반 GPU 병렬 처리 프로그래밍" 저서가 발간되었다. 김덕수 교수는 현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컴퓨터공학부에